조선역사 (26)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역사 16편 인조 생애 인조의 생애는 1595년(선조 28년), 황해도의 해주목에 태어난 능양군 인조는 선조의 손자로 태어났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정원군 내외가 해주로 피난을 갔을 때, 연주군부인 구씨가 인조를 출산했습니다. 인조의 행적에 관한 기록은 행장의 특유한 과장으로 보입니다. 선조는 인조를 아끼며 직접 휘와 자를 지어주었고, 광해군은 이에 반대했으나 이는 행장의 과장으로 보입니다. 선조는 인조를 알현할 때마다 재롱을 떨며 기쁘게 했습니다. 선조 때 능양군으로 봉해진 인조는 할머니 인빈 김씨의 지원으로 대우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광해군의 의심병으로 옥사가 빈번히 발생했고, 이에 가족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정원군은 옥사를 일으킬 때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나, 공안정국은 이들 가족에게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반정의 명.. 조선역사 15편 광해군 세자시절 임진왜란 당시 광해군은 조선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뛰어나고 용감한 행동을 보여주었습니다. 처음에는 선조가 광해군을 임시 책봉하여 군사적인 역할을 맡기도 했으나, 나중에는 광해군이 조선의 실권을 모두 맡게 되었습니다. 이때 광해군은 전면전에서 활약하며 전쟁터를 누빈 유일한 왕자로서 칭찬을 받았습니다. 선조는 국외로 망명하려 했을 때도 광해군은 왕실의 일원으로서 책임을 다해 왕실의 이미지를 회복하고 민심을 수습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선조는 광해군의 활약으로 인해 자신의 권위가 약화되고 광해군에 대한 두려움과 질투심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여러차례 광해군을 견제하려는 시도를 했지만, 결국 광해군을 대체할 대안이 없었기 때문에 실제로는 그를 제약할 수 없었습니다. 이런 상황 속.. 조선역사 14편 선조 생애 하성군 1565년 11월 11일, 한성의 인달방에서 덕흥대원군과 하동부대부인의 3남으로 태어난 선조는 하동부대부인의 증손녀와 중종의 아들로, 하성군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선조는 어린 시절에 덕흥대원군이었을 때 중종으로부터 집을 바꿔달라는 요청을 거부한 뒤, 좋지 않은 땅에 건물을 짓게 되었지만, 나중에는 이곳에서 왕으로 즉위할 것을 예측하지 못했습니다. 어린 나이에 부친을 잃은 선조는 명종의 지시로서 백부인 복성군의 양자로 들어가게 되었고, 명종은 조카들에게 많은 정을 베풀었습니다. 명종은 하성군을 특별히 애처롭게 여기며 하원군과 하릉군과 함께 성년이 되어도 훈육을 계속했습니다. 하성군이 간택된 이유에 대한 의문이 있지만, 명종의 애정과 선조의 능력을 고려하면 합당한 선택이었습니다. 1567년에.. 조선역사 12편 인종 세자 책봉 1515년 2월 25일, 조선 중종의 네 번째 아들이자 적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이 아들의 아명은 '억명(億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머니인 장경왕후가 임신 중 꿈을 꾸었는데, 그 꿈 속에서 어떤 사람이 나타나 '억명으로 이름을 짓라'고 하자 장경왕후는 깨어나 벽에 '억명'이라는 글자를 써놓아 두었습니다. 이후 그 이름이 결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어머니는 인종을 출산한 지 1주일 후인 3월 2일에 산후병으로 사망하였습니다. 장경왕후를 대신하여 친할머니인 정현왕후가 이 아들을 돌보았으며, 외숙부인 윤임을 위시한 대윤의 정치적 지지를 받았습니다. 작서의 변 이 사건의 배경은 중종의 후궁이었던 경빈 박씨와 중종의 맏아들 복성군 사이의 정치적인 갈등과 왕위 계승에 대한 우려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경.. 조선역사 13편 명종 즉위 1534년 음력 5월 22일에 중종과 문정왕후 윤 씨 사이에서 태어난 인종은 중종의 아들이자 현왕 인종의이복동생으로태어났습니다. 그러나 그의 양 눈에 안질이 있었다는 이유로 인종이 세자로 지목되었습니다. 이후 중종이 급사하면서 인종은 왕위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인종이 왕이 된 이후, 문정왕후가 왕위에 개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문정왕후는 인종의 양안 안질을 이유로 인종의 왕위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이언적 등 일부 인물들이 인종의 왕위를 지지하며 이러한 시도를 무효화시켰습니다. 이후 문정왕후는 수렴청정으로 자신의 섭정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명종 시대에는 대윤의 대신들과 사림들이 대거 숙청되었고, 이에 따라 백성들과 유학자들 사이에 반감이 증폭되었습니다. 특히, 윤원형을 비롯한 소윤.. 조선역사 11편 중종 중종반정 이후 1506년부터 1513년까지의 7년 동안, 박원종, 유순정, 성희안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중종 반정이 일어나, 이를 통해 중종은 19세의 나이에 왕위에 올랐습니다. 이 기간 동안 왕권은 심각하게 훼손되었고, 훈구 세력들의 권력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중종은 사림을 중용하려 했지만, 그들 역시 중종의 지시를 따르지 않았습니다. 중종반정 후, 왕의 권위는 더 이상 안정적이지 않았고, 공신들은 왕권을 흔들기 시작했습니다. 훈구 세력의 장악력이 커지면서 정치적인 혼란이 더욱 심화되었고, 왕의 권한은 실질적으로 사라졌습니다. 그러나 이후 중종 4년에는 박원종, 중종 6년에는 유순정, 중종 7년에는 성희안 등 반정의 중심인물들이 사망하면서 정계가 안정화되었습니다. 하지만 중종 8년에.. 조선역사 10편 연산군 즉위 초반 연산군은 처음에는 정상적인 군주로 평가되었습니다. 그는 빈민을 구제하고 정치에 의욕을 보이며 신하들의 의견을 경청했습니다. 또한 북방 여진족에 대한 전략을 세우고 해적을 퇴치하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일부 주장에 따르면, 연산군은 신하들의 간언과의 갈등으로 인해 점차 폭군으로 변해갔다는 것입니다. 이는 경연을 자주 실시하지 않고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갑자사화를 강행한 것 등으로 보여집니다.그러나 대부분의 조선 군주들이 경연을 싫어했고, 연산군이 경연을 줄인 것은 그 자체로 폭군의 증거로는 미흡합니다. 또한 연산군은 경연을 열때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지적 논쟁에서도 경전을 인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펼쳤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경연에 나가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폭군이라는 주장은 지나.. 조선역사 9편 성종 생애 자을산군은 세조의 손자이자 의경세자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인수대비한씨였습니다. 부친이요 절한 후에는 궁을 나와 사가에서 생활하던 잘산군은 예종이 갑자기 족질로 사망한 후 후계 문제가 논의될 때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정희왕후는 권신신숙주와 한명회를 불러들여 후계를 논의하였고, 즉위식이 이뤄지기 전에 자을산군이 왕으로 지명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예종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졌으며, 정희왕후와 일부 관료들의 의견을 따랐습니다. 아직 어린 자을산군은 예종의 아들 제안대군과 의경세자의 장남인 월산군보다는 적절한 후계자로 여겨졌습니다. 이 결정은 현실적인 안전장치로서 권신과 연계된 것으로 보여진다고 해석됩니다. 인수대비와의 연결로부터 비롯된 이러한 결정은 조선 왕조의 특이한 정치적.. 조선역사 8편 예종 생애 세조가 계유정난으로 즉위한 후에도 원래는 왕위와는 거리가 있었는데, 그 이유는 맏형인 의경세자가 여러모로 유력한 후계자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1457년 9월에 의경세자가 만 19세의 나이로 급사하여 그의 어머니 현덕왕후 권씨가 저주를 퍼부었다는 야사도 있지만, 실제로는 의경세자가 단종보다 먼저 죽은 사실이 있습니다. 1457년 12월, 해양대군이 세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1460년, 세조는 한명회의 딸 한씨를 세자빈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한씨는 출산 후 산후병으로 요절하여 인성대군을 낳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습니다. 이후 세조는 한백륜의 딸 한씨를 새로운 세자빈으로 삼아 세자빈의 예우를 받게 했습니다. 세자가 13세가 되던 해, 세조는 세자를 조계에 참여시켜 국정운영을 배우게 했습니다. .. 조선역사 7편 세조 즉위 정통성 세조는 자신이 단종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면서 정당성이 결여된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단종은 세종과 문종 재위기간 동안 이미 견고한 정치적 기반을 갖고 있었습니다. 세조는 세종과 문종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투쟁한 결과를 이용했고, 이는 세조가 단종을 폐위시키고 자신이 즉위하면서도 계속되었습니다. 단종은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으며 국정운영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단종이 더 성숙한 나이에 왕위에 오르면 더욱 강력한 왕권을 구축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단종은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나며 자신의 정치적 능력을 시험할 기회를 잃었습니다. 이에 따라 세조는 단종을 평가할 때 어린 나이로 인한 한계를 고려해야 했습니다. 세조는 자신의 왕위를 위협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을 무차별적으로 .. 이전 1 2 3 다음 목록 더보기